반응형 로그의 발명1 [수학자 일화] 범인잡는 닭을 키운 수학자, 존 네이피어 존 네이피어라는 이름은 생소할 수 있습니다. 저도 사실 글쓰면서 처음 들었습니다. 그러나 다들 학창시절 log 기호를 보신 적 있으신가요? 지금은 컴퓨터와 계산기의 발달로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, 당시엔 천문학의 발달로 수학적 계산은 점점 복잡해져 갔습니다. 그 복잡한 계산을 수학자들이 일일히 풀어가려니 얼마나 힘이 들었겠습니까? '존 네이피어'는 '브리그스'와 함께 20년 넘는 연구끝에 로그라는 개념을 만들어 냈습니다. 당시의 복잡하고 어려웠던 계산을 로그표를 만들어 쉽게 찾아낼 수 있었던 것이죠. 프랑스의 수학자 '라플라스'가 "로그의 발명으로 천문학자들의 수명이 두 배로 연장되었다." 라고 말할 정도로 이 발명은 대단한 것이었습니다. 그런 그가 범인을 알려주는 귀한 수탉을 키운적이 있다고 하는데, 과.. 2020. 5. 21. 이전 1 다음 반응형